본문 바로가기

11번의 구조신호 무시한 경찰, 결국 이태원 참사 불렀다

728x90
반응형

 

오마이뉴스

 

행안부장관 이상민은 시내 집회에 경찰을 배치하느라 이태원에 배치할 인력이 없었다, 사고 날 만큼 많은 인파가 아니었다는 초기 발언으로 뭇매를 맞고 이틀 뒤에서야 다시 사과했다. 여론의 눈치를 봐가면서 변명을 늘어 놓던 거라 진심으로 사과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당시 시내 집회 때문에 경찰 인력이 부족했다 치더라도 야간엔 집회가 대부분 해산되고 그 많은 경찰 병력이 필요하지 않은 때였다. 이태원에서는 오후 6시 30분 부터 112에 구조 요청을 했고 그 후로 사고 전까지 11번의 구조 요청이 있었다고 한다. 이태원 파출소의 직원이 내부 전산망에 올린 글에는 11번이 아니라 70번 이상의 신고 전확가 있었고 상부에 병원 지원을 요청했지만 모두 묵살 당했다고 한다.

 

행정안전부, 경찰청은 주로 젊은이들이 즐기는 이태원의 서양 축제에 편견을 갖고 있었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이태원 축제가 일어나기 전 경찰 정보과 내부에서도 안전 대책에 대한 보고서가 있었고 전산망에 등록까지 됐지만 그것도 무시 됐다고 했다. 교통 통제도 하지 않은 걸로 봐서 경찰 지휘 책임자들은 이태원 안전 대책에 전혀 신경쓰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경찰 조직의 꼰대적 마인드가 작동했을 것이다.

 

여러 차례의 참사를 겪으며 책임 소재를 따지고 재발 방지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있어 왔지만 천안함, 세월호를 겪고도 우린 아직 제자리 걸음이다. 이처럼 국가가 국민을 보호하지 못하는데 의무만 강요하는 국가를 어떻게 국민이 신뢰할 수 있겠는가. 이번에야 말로 책임자는 엄벌하고 치안과 안전에 대한 관련 조직과 책임자의 무한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인 영달을 위해 승진만 중요하고 정작 본분인 국민의 치안과 안전을 뒷전으로 미루는 경찰은 더이상 제복을 입을 수 없게 해야 한다.

 

 

과거 오원춘 사건이 있었다.

납치 된 여성이 가까스로 경찰에 구조요청을 했지만 경찰은 전화기 너머로 비명소리까지 듣고도 미온적 대처로 참혹하게 살해당한 사건이었다. 경찰의 이런 직무유기로 벌어진 안타까운 사건은 뉴스를 조금만 검색해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런 참담한 일을 겪을 때 마다 만약 내가, 혹은 내 가족이 위기에 처했을 때 경찰에 신고하면 경찰이 출동해 줄까 의심하게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