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이후 급격하게 도시화 되고 아파트 생활이 많아 지면서 주말이면 가족과 연인들이 야외로 여행겸 캠핑하는 인구가 늘어났다. 그때는 텐트 하나와 간단한 조리도구만 있으면 엄마의 손에 의해서 어떻게든 뚝딱 맛난 먹거리가 만들어지곤 했다.
옛날 캠핑은 지금과는 모습이 많이 달랐다. 부족한 것도 많고 교통도 지금보다 많이 열악했다. 그래도 그 시대에 감성으로만 느낄 수 있는 낭만이 있었다.
2000년대 초반 IMF와 2008년 세계 대공항을 겪으며 사람들은 내일을 장담하기 어려운 불안한 하루하루를 겪어야 했고 생활은 고난했다. 미래를 계획하기 보다 당장 살아남을 일이 걱정이 됐다. 그러면서 불투명한 미래 보다 현재에 충실하자는 사람들이 늘었고 워라벨(work life balance)이 삶에 중요한 가치가 됐다. 현재의 자신에게 투자하는 걸 아끼지 않았고 취미 활동에 과감하게 투자했다. 그중 하나가 캠핑 문화다.
텐트와 코펠 하나면 됐던 캠핑이 언제 부턴가 캠핑 용품의 브랜드가 중요하게 됐다. 장비들은 고급화 되고 다양해 졌다. 그만큼 소비도 크게 늘었다. 3년 간의 코로나19를 겪으며 숙박 업체들이 영업을 할 수 없게 되면서 캠핑 인구는 더 늘었고 수 천 만원 하는 캠핑카를 구입하는 사람들도 늘었다. 요즘은 모텔, 펜션 어딜가나 숙박 비용만 수 십만원씩 들어가니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은 차라리 캠핑카를 구입하는 게 장기적으로 경제적일 수 있다.
캠핑카가 늘어나면서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주차와의 전쟁 중이다. 그런데 이제는 캠핑카도 그 전쟁에 합류하고 있다. 아파트 단지나 주택가 인근의 공터엔 여지 없이 캠핑카가 주차 돼 있고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영주차장에도 장기 주차 돼 있는 캠핑카는 지자체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주차난으로 곤란을 겪는 주민들 시선에도 그런 캠핑카가 곱게 보일리 없다.
캠핑카는 구매하는데도 이렇다 할 규제가 없지만 버리는데도 헛점이 많다. 폐차 신고를 하지 않고 외지의 공터에 방치하고 번호판만 떼어가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사실상 폐기물 투기다. 지자체도 사유재산이라 임의로 처리 할 수 없다는 입장만 내세우고 있다.
지자체는 최소한 주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기초의회에서 조례를 만들더라도 알박기 주차나 무단 투기를 막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지자체가 할 수 있는 일은 캠핑카용 번호판을 발급하기 전에 캠핑카 주차장 확보 계획서를 받도록 하는 것이다.
- 공영주차장은 공공시설이다. 개인이 장시간 무단 점거하는 건 합당하지 않다. 따라서 장시간 방치 차량에 대해서는 벌금 및 견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례가 필요하다.
캠핑족들도 유권자이기 때문에 선출직인 지자체장이나 의회에서 선뜻 나서는데는 많은 용기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시민의 불편을 해소하고 불공정을 해소하는 일이 그들의 본분이다.
'사회와 이슈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참가했는지도 파악 못한 잼버리, 이래도 전라북도, 문재인 정부 탓만할 건가? (0) | 2023.08.09 |
---|---|
연일 계속되는 묻지마 살인과 예고, 그러나 경찰은 멀고 정당방위는 인정하지 않는 한국 (0) | 2023.08.09 |
축제장 뿐 아니라 휴가지, 해수욕장, 유원지 등 바가지 요금도 근절되야 한다 (0) | 2023.07.06 |
만 나이로 통일, 그런데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내 나이는? (0) | 2023.07.05 |
간호법 논란과 성큼 다가오는 원격진료 그리고 위협받는 국민의 건강권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