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YTN 민영화와 MBC 광고 중단 꺼낸 국민의힘, 사실상 언론-기업 향한 협박이다

728x90
반응형

KBS1 뉴스

국민의힘 김상훈의 MBC 광고 중단을 공식 언급했다.

여당의 지도부에서 나온 발언이기 때문에 여파가 적지 않다.

윤석열의 동남아 방문 때도 MBC 기자의 대통령 전용기 탑승금지로 국내는 물론 세계 언론들의 지적을 받아왔다.

 

MBC 뉴스

 

MBC와 윤석열 정부의 본격적인 갈등은 윤석열의 바이든 욕설 파문에서 시작됐다.

MBC가 이 보도를 한 뒤로 대통령실은 다음날 "바이든"이 아니고 "날리면"이라고 해명했다.

전국에 내로라하는 소리 전문가들까지 동원 돼서 발음의 진위 여부를 따지는 촌극까지 벌어졌다. 그러나 국민들 대다수는 바이든이 맞다고 판단하고 있다. 만약 문맥상 "날리면"이라고 했다면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날리면'은 쪽팔려서 어떡하나?" 이런 문장이 된다. 전혀 문맥이 맞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 ㅅㄲ(욕설)이 대한민국 국회를 말하는 것인지 미국의 국회를 말하는 것인지에 따라서도 문제가 된다.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을 비하한 것이기 때문이다. 대통령이라는 사람이 국제 공식석상에서 이런 비속어를 남발하는 것도 그 품격이 얼마나 저속한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바이든 욕설 관련 보도는 SBS에서도 다뤘지만 유독 MBC에만 날을 세우고 있는 윤석열 정부다.

MBC가 대체로 정부에 비판적인 뉴스를 자주하기 때문이다.

SBS는 민영방송으로(태영건설) 보수 정권에 우호적이며 KBS, YTN, 연합뉴스 그리고 조중동, MBN 등 종편까지 대한민국 거의 모든 언론이 보수 정권에 친화적이거나 집권 정당과 정권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이런 환경에서 MBC가 중립보도를 하더라도 정권에서는 민감하게 받아들이며 불편해 한다. 모두가 정권을 찬양하는데 모난돌처럼 하나가 튄다면 그것조차 견디지 못하는 게 권력이다.

 

728x90

 

MBC 기자의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허는 많은 국내 언론들의 취재를 위축 시킬 수 있다. MBC를 본보기로 정권의 입맛에 맞지 않는 보도를 하게 되면 정권 차원에서 보고만 있지 않겠다는 강한 압박이다.

 

오늘 국민의힘에서 MBC에 대한 기업들의 광고 금지 발언은 기업을 향한 압박이다. 기업은 어쩔 수 없이 권력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 더군다나 윤석열의 검찰 정권에서는 더욱 그렇다. 대한민국에서 누구도 검찰 정권에 대항하기는 어렵다.

 

미디어오늘

 

얼마 전 정부의 YTN의 민영화에 대한 이유도 MBC와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국민의힘 박성중은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우리(국힘당)는 YTN을 좌지우지 할 생각이 추호도 없다면서도 'YTN에 대해 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말은 국힘당이 작심하면 YTN도 좌지우지 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YTN은 대선 후 대대적으로 방송 출연자와 진행자들 물갈이가 있었다.

이날 라디오에서 박성중은 YTN이 민주당 편에 섰다고 말하며 반성해야 한다고 했다.

YTN이 민주당 편이었다고 하는 건 박성중 개인이거나 국민의힘의 주관적 판단일 것이다.

즉, 국민의힘이나 윤석열 정부에 호의적이지 않으면 팔아버릴 수 있다는 것이 YTN 민영화의 목적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YTN 민영화는 이명박, 박근혜 정부 때도 단골 협박 메뉴였다. 정부에 호의적이지 않으면 민영화 발언으로 방송을 위축시켜 왔다.

윤석열 검찰 정부에서는 말로만 하는 게 아니라 속전속결로 YTN 민영화가 진행 중이다.

언론을 정부와 여당이 좌지우지 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